공기청정기 필터 버리기, 분리수거 어떻게 해야 할까?

공기청정기 필터 버리기, 분리수거

황사와 미세먼지로 인해 공기청정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필터 교체 후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공기청정기 필터는 플라스틱과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지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번에는 공기청정기 필터 버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기청정기 필터 버리는 법

공기청정기 필터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필터마다 재활용 여부와 폐기 방법이 서로 다릅니다.


1 원통형 필터 (일체형)

일반 쓰레기로 배출

원통형 필터는 겉보기에는 플라스틱이나 종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미세먼지 마스크와 유사한 부직포 재질의 합성섬유로 제작됩니다. 이러한 재질의 특성상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2 평판형 필터 (분리형)

평판형 필터는 기능에 따라 아래의 3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각의 버리는 방법도 다릅니다.

공기청정기 필터 종류
Credit: LG전자


◾ 프리필터 (극세필터)

플라스틱류로 분리배출

프리필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어 분리배출이 가능합니다. 필터에 묻은 먼지를 깨끗이 물로 세척한 후, 플라스틱류로 분리수거해 주세요.


◾ 탈취필터

일반 쓰레기로 배출

탈취필터는 활성탄으로 제작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종량제 봉투에 넣어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 집진필터

일반 쓰레기로 배출

집진필터는 인조섬유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세요.


공기청정기 필터 수명 늘리는 법

공기청정기의 필터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적절히 관리하면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환기

창문을 자주 열어 공기를 환기하면 실내 공기 질이 좋아지고,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필터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요리 ∙ 청소 시 환기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요리나 청소를 할 때 창문을 열어두면 필터의 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청결한 실내환경 유지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실내 먼지를 줄이면 필터의 오염 속도를 늦추고, 결과적으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