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s 목차
새로운 회사에 입사하면 가장 먼저 동료들과 인사를 나누게 되는데요. 하지만 사회 초년생은 다양한 직급과 직책을 처음 접하다 보니 동료의 직급을 잘못 부르는 경우가 종종 있죠. 그래서 오늘은 회사의 직급 순서와 직급, 직책, 직위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직무란?
직급과 직책을 알아보기 전에 '직무'라는 용어를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직무는 조직 내에서 개인이 담당하는 구체적인 업무 내용과 책임을 의미하는데요. 예를 들어, 영업직, 회계직, 개발직, 인사직 등에서 '직'이 바로 직무를 나타냅니다.
직급 ∙ 직책 ∙ 직위 차이

사회 초년생이 특히 혼동하기 쉬운 부분은 직급, 직책, 직위라는 용어의 차이인데요. 이 세 용어는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1 직위
회사 내부의 서열 순서 (승진 체계)
직위는 조직 내에서 개인이 맡은 직무와 책임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승진 체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 내부의 서열 순서를 나타내며, 직무에 따른 사회적 ∙ 행정적 위치를 의미하는데요. 보통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직위를 나눌 수 있습니다. (※ 회사마다 직위 체계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사원 → 대리 → 과장 → 부장 → 이사 → 상무 → 대표이사
이 단락의 목표는 용어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회사별(일반 회사, 생산 공장, 연구소) 직급 순서는 마지막 단락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2 직급
비슷한 직위를 묶어서 호봉(연차)으로 나누는 것
직급은 업무의 성격, 난이도, 책임, 그리고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기준으로 비슷한 직위를 그룹화한 개념인데요. 주로 공무원 조직에서 호봉제에 따라 '9급 2호봉'처럼 표현되며, '호봉'대신 '연차'로도 불립니다.
반면, 일반 회사에서는 직급 체계를 세분화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어 직급과 직위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 '대리 2년 차' 대신 단순히 '대리'라는 직함을 사용합니다. 다만, 근무 경력을 묻는 상황에서는 '대리 2년 차'와 같이 연차를 함께 언급하기도 하죠.

3 직책
직위와 별개로 부여되는 책임과 권한
직책은 직위와는 별개의 개념으로 직무에 대한 책임과 권한에 따라 부여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순으로 직책을 나눌 수 있습니다.
파트장 → 팀장 → 실장 → 본부장 → CFO → CEO
직책은 직위와 달리 승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인사팀의 팀장은 부장이지만 회계팀의 팀장은 차장일 수 있습니다.
CEO, CFO 외에도 기업에는 다양한 총책임자가 있습니다. 각각의 총책임자를 나타내는 용어와 하는 일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회사별 직급 순서

직급(직위)의 순서는 회사, 생산 공장, 연구소 등 회사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각 회사별 직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사
요즘은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위해 'OO님'이나 영어 닉네임으로 부르는 회사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회사들 중에서도 대외 업무를 위하여 외부적으로는 '사원, 대리, 과장, 부장'과 같은 직위 체계를 사용하는 곳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일반 사원에서 시작하는 일반직과 이사에서 시작하는 임원직으로 분류하며, 일반직과 임원직의 직급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직
인턴 →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임원직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2 생산 공장
생산 공상은 일반 사무직과 직위 체계에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사원으로 시작하여 조장을 거쳐 공장장 순으로 직위가 올라갑니다. 생산 공장의 직급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원 → 조장 → 반장 → 직장 → 기선(기장) → 공장장
3 연구소
연구소 역시 일반 사무직과 직위 체계가 다릅니다.
일반 연구원으로 시작하여 주임을 거쳐 수석 연구원 순으로 직위가 올라갑니다. 연구소의 직급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원 → 주임연구원 → 전임연구원 → 선임연구원 → 책임연구원 → 수석연구원
요약
지금까지 회사의 직급 순서와 직급, 직책, 직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살펴본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ummary
직급 ∙ 직책 ∙ 직위 차이
◾ 직위 : 회사 내부의 서열 순서로 승진 체계
◾ 직급 : 비슷한 직위를 묶어서 호봉(연차)으로 나누는 것
◾ 직책 : 직위와 별개로 부여되는 책임과 권한
직급 순서
◾ 회사 : 인턴 →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이사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 생산 공장 : 사원 → 조장 → 반장 → 직장 → 기선(기장) → 공장장
◾ 연구소 : 연구원 → 주임연구원 → 전임연구원 → 선임연구원 → 책임연구원 → 수석연구원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