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분들이 부모님의 별세를 뜻하는 부친상이나 모친상은 익숙하지만 '조부상'이라는 표현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장례와 관련된 용어는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데요. 이번에는 조부상의 뜻, 휴가, 그리고 적절한 조의금 액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조부상 뜻
할아버지의 장례
조부상(祖父喪)은 한자 그대로 '할아버지의 장례'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부계와 모계 조부모의 상을 구분하여, 친할아버지의 상은 '조부상(祖父喪)', 외할아버지의 상은 '외조부상(外祖父喪)'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러한 구분은 과거 부계 혈통을 중시했던 가부장적 사회 구조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지인이나 친구의 조부상에 꼭 참석해야 하나요?
지인이나 친구의 조부상은 부모상과 달리 꼭 참석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참석 여부는 지인과의 친밀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매우 가까운 사이였다면 장례식에 참석해 위로를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석이 어려운 경우에는 조의금을 보내거나 진심 어린 메시지로 애도를 표현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조부상 휴가
공무원, 일반 회사원에 따라 차이가 있음
1 공무원
공무원의 경우,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라 조부모(친조부, 외조부 모두 포함) 사망 시 3일의 경조사 휴가가 주어집니다. 배우자의 조부모 사망 시에도 동일하게 3일의 휴가가 적용되는데요. 휴가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제출 서류
- 사망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 기타 기관에서 요구하는 추가 서류
Q 조부상이 주말인 경우는?
경조사 휴가는 실제 근무하는 날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주말은 휴가 일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토요일이 조부모상이라면, 토요일과 일요일은 휴가일에서 제외하고 월요일부터 휴가 일수를 계산하면 됩니다.
2 일반 회사원
민간 기업의 경우, 근로기준법에는 조부모 사망에 대한 의무적인 경조사 휴가 규정이 없습니다. 경조사 휴가는 법정 휴가가 아닌 약정 휴가로, 회사의 내부 규정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일반적으로는 조부모상에 대해 1~3일 정도의 휴가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회사에 따라 3~5일을 주기도 하고, 아예 별도 규정 없이 연차를 사용해야 하는 곳도 있으니 인사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출 서류
- 사망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 TIP
휴가를 신청할 때는 상사에게 양해를 구하고, 동료들의 업무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가능한 한 신속하게 회사에 알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조부상 조의금
3~10만 원 사이의 홀수 금액
조부상의 조의금(부의금) 액수는 관계의 친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기준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Q 조부상 조의금의 적정 금액은?
◾ 홀수가 길한 의미를 담고 있어 조의금은 홀수 단위로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다만, 9라는 숫자는 불완전한 숫자로 여겨져 9만 원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통상적으로 3, 5, 7만 원 정도가 무난하며, 친분이 두터운 사이일 경우 10~20만 원 사이가 적절합니다.
◾ 10은 짝수이긴 하지만, 3과 7이 합해져 길한 의미를 담고 있으므로 10만 원 단위도 괜찮습니다.
0 댓글